티스토리 뷰

 

 

 

외장하드 또 사야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씁니다

 

TOSHIBA CANVIO ADVANCE 3TB

도시바 칸비오 어드밴스 3TB

 

쉽게 보는 리뷰 및 모델 비교

 

(짧다고는 안 했다)

 

 

 

 

 

나의 구매 경로

 

노트북 구매할 때 1TB  500GB였음 외장하드를 증정품으로 받아서 사용하고 있었음

딱 봐도 내구도가 유리 수준으로 보였기 때문에 사실 불안해서 1년 정도는 사용 안 하다가

노트북 용량에 빨간색이 뜨기 시작함 + USB 만으로는 한계가 생겨서 대충 사용함

 

전공이 영상 관련이라 과제할 때마다 용량이 장난 아니게 필요해져서 이걸론 안 되겠다! 외장하드를 구매하기로 함

무조건! 큰 용량이 필요했기 때문에 4TB로 사려고 했고, 당시에 주변인들이 많이들 사용한 S사의 제품을 구매하려고 했음

(S사가 어디 S사인 지는 밑에 읽어보면 대강 눈치챔)

 

그러던 와중에 그 제품을 갖고 있던 친구가 마감 근처에 외장하드를 떨어뜨려서 다 날아가는 사태가 발생..

싸게 복구해주는 건 일주일 넘게 걸려서 긴급복구로 엄청난 거액을 냈어야 했고

저는 내구성과 안전도도 (금전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니 다시 알아봐야겠다는 마음이 들기 시작한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도시바에서 사야겠다 -> 그중에서 칸비오 어드밴스 선택

 

 

 

전자제품 알아볼 때 제일 짱나는게 알아듣지도 못할 용어 남발하면서 이건 어떻다 저건 어떻다 하는 글들

본인 기록용이 아닌 경우에도 이거 누가 보고 참고하라고... 싶음

그 정도로 잘 아는 사람은 직접 제품 스펙 알아보고 자기 기준에 맞춰서 사지 않나;

 

하지만 넉넉한 용량은 컴퓨터나 특히 노트북을 사용하는 누구든지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다

물론 알아두면 다른 곳에서도 언젠가.. 언젠가는 쓸 일이 있겠지만 제품 하나 알아보는 게 너무 긴 시간을 투자하기엔 지침

 

특히 덕후들은 그 시간에 덕질 더 하세요 하는 의미로 씁니다

사실 업무용으로 사시는 분들은 이걸 이렇게 추천해도 괜찮을까 싶지만 그 시간에 지친 심신에게 휴식을 주시어요...

 

 

 

1. 거르고 시작하기

 

전자제품 알못은 잘 아는 전자제품 브랜드에서 사려고 하는 경향이 있으나 (나도 그렇다)

어차피 이쪽 회사들도 그냥 하청업체라고 해야 하나 원래 알맹이는 하드 만드는 회사에서 만드는 거라고 합니다

그래서 가격이 일명 브랜드값=거품인 '경우가 있음'

 

원래 하드디스크 만드는 곳에서 만든 제품이 제일 낫다는 얘기가 많고

간단히 생각해봐도 그럴 것 같고 적어도 나쁜 경우는 없을 것 같아 이쪽을 알아보기로 함

회사는 TOSHIBA(도시바), WD(웨스턴 디지털), Seagate(씨게이트) 이쪽 추천이 많음

 

 

 

2. 저장 방식 고르기

 

외장하드 첨 사보거나 이전에 구매한 적이 있더라도 별로 안 알아보고 이거 괜찮겠다 정도로 샀던 분들은

검색하다가 언뜻 보이는 이 정체불명의 용어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PMR과 SMR

(이런 용어 설명한 글 보면 종종 LMR 도 나올 텐데 이제 안 쓰는 거니까 알 필요 없음 ㅂㅂ)

 

엄청나게 쉽게 말하면 외장하드에 파일을 어떻게 저장하는지에 대한 것인데

PMR 은 차곡차곡 저장해서 더 안전하고 오래갈 수 있음 단점은 비쌈

SMR 은 겹쳐서 저장해서 싸게 많이 저장할 수 있지만 기록할수록 쓰기 속도가 느려지고 위험도도 있는 편

나도 어떤 분이 쉽게 볼 수 있는 그림이랑 같이 정리해준 글 보고 팍! 이해했던 정보!

몇 년 전에 본거라 찾을 수가 없는데 글 써주신 분 어디 계시는 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압도적 감사!

 

 

 

나는 날아가면 학점도 날아가고 그게 조별과제면 척살! ^^ + 빨리빨리 조원에게 넘기는 게 중요해서 PMR 방식을 사용하는 외장하드를 사기로 함

여기서 중요한 정보는 PMR 방식을 개발한 회사가 도시바라는 것이었다

아 그럼 당연히 도시바를 사야지~ (더 이상 알아보기 너무 지친 사람) 하고 도시바로 결정한 것이었는데 그 사이에 알게 된 여러 가지 정보도 적어놓겠음

 

도시바 외에는 3TB 넘어가면 아직 PMR 방식을 사용하는 제품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함 -> 4TB 사려고 했는데 3TB 삼

실제로 도시바는 얼추 보니까 모든 모델이 3TB까지 밖에 안 나오는 것 같음

WD도 제일 유명한 마이 패스포트 모델은 1,2TB 에서 3TB 없고(있긴 한데 국내 판매 안 하는 듯) 4TB 있는데

언젠가부터 전부 SMR 방식이라는 얘기를 접했다.. 1,2TB는 PMR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확실한 건 모르는 걸로 ㅠ

씨게이트는 걍 편하게 웬만하면 SMR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될 듯 (그래서 일단 거르고 시작했다)

 

내가 이거 알아보면서 제일 이해가 안 갔던 부분이 이게 제품 스펙에 1도 안 적혀있음 ㅋㅋㅋㅋㅋㅋㅋ

난 적혀있는 페이지를 본 적이 없다 진짜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거라고 생각하는데 문의 넣어도 제대로 된 답변이 안 오는 경우도 잦다고;

그래서 직접 본사 등에 물어보고 대답 얻은 분이 올린 정보로 알아보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3. 용량 고르기

 

용량을 여기서 고르는 이유는 아까 저장 방식 때문

 

사용 목적에 따라 용량을 골라야 되는데 감이 안 잡히면 한 1% 정도만 참고하세요

1TB : 주로 문서 파일이 많은 경우

문서 파일이 용량이 의외로 작아서 사실 문서만 저장하시면 어지간히 많지 않은 이상 1TB까지 안 와도 될 법 한데 겸사겸사 핸드폰 사진도 백업하고 싶은 경우 1TB 추천

2TB : 휴대성이 중요함, 1TB로는 아무리 해도 안 될 것 같은데 3TB 이상은 너무 큰 것 같음

대부분의 모델들이 1TB랑 2TB 크기가 똑같고 3TB부터 크기가 커지므로 휴대성이 중요하다면 3TB까지 가는 건 고려해보셔야 할 수도 있어요

반면 1TB에서 고민하시는 분들은 영상도 좀 있고 음악도 많다 싶으면 넉넉하게 2TB 정도로 오셔도 될 듯

가장 큰 이유는 1TB 두 개 사는 거랑 2TB 하나 사는거랑 가격 차이가 꽤 크기 때문!

3TB : 고화질 영상을 엄청 넣을 것이다

4TB : 일단 무조건 용량이 엄청나게 필요함

(이제 보니 씨게이트는 5TB도 생겼더라구요 쩐다..)

 

1TB 써본 경험상 1TB도 적지 않음 다만 나는 이미 꽉 차서 사게 된 사람이라 ㅠㅠ

1,2TB는 본인 지갑 사정에 맞게, 또 디자인 신경 쓰시는 분들은 디자인 보고 고르셔도 크게 문제없을 듯

 

다만 씨게이트는... 앞서 말했다시피 높은 확률로 SMR 방식이라 4,5TB 살 거 아니면 개인적으로 비추

왜냐하면 주변에서 씨게이트 날아간 경험담만 세 개 있고 오래 사용한 사람들 대부분이 너무 느리고 인식이 불안하다고 했음

블로그 리뷰나 사이트 후기 글이 아니고 그냥 진짜 주변에서 사용해본 사람들이다 보니 일단 든 생각은 '많이 사긴 하는구나' 이긴 했지만 ㅋㅋㅋㅋㅋ

반면 도시바 사용한 사람은 두 명 밖에 못 봤다 하지만 공통점은 추천함... 나도 그분도 추천해서 다른 분도 어드밴스로 장만하심

 

 

 

그런데 용량 고민하는 덕후님들 용량은 꼭 젤 큰 거 사야 하는 거 아시죠? ^^

'1TB면 될 거야' '2TB면 넉넉하지' 하는 안일한 생각을 하지 마시옵소서 걔네로는 당신의 덕력을 담아내지 못해..!

진짜 파일을 별로 안 모은다 싶으면 지갑 사정에 맞춰서 사는 게 맞지만 최소 3년은 바라봅시다

(보증 기간도 3사 모두 3년까지임 ㅋㅋㅋㅋㅋㅋㅋㅋ 전자제품은 보증기간=멀쩡한 성능의 수명이라 보면 됨)

 

아 참 외장하드는 수리 개념 없이 그냥 교체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둡시다.....

따라서 3년 내에 고장 났다 -> 그냥 새 제품으로 교체해줌

 

진짜 집에서 애지중지 모실 계획 + 전자제품을 깨부순 이력이 없음 = 4TB짜리 사는 것도 괜찮음

다만 4TB가 날아가면 진짜 큰일 나니까 아래 문단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4TB 사고 싶은데 알아보기 귀찮다 하시면 WD 패스포트나 씨게이트 백업 플러스 '골드' 추천

다만 씨게이트 백업 플러스가 쪼오금 진짜 쪼오금 더 얇고 가볍고 제일 중요한 거 골드는 2년 내에 한번! 데이터 복구를 해줌!

도시바랑 WD에서는 안 해주는 서비스고 다만 만원 더 비싸다 하지만 복구 비용 생각하면 엄청난 혜택임

(데이터 복구되는 라인에 실버도 있는데 일반 라인에도 실버 있어서 헷갈릴까 봐 골드라고 적음)

 

도시바 쓰시다가 고객응대에 짜증 나서 씨게이트로 옮긴 분도 있더라고요

케바케라고 보지만 서비스에 민감하신 분들은 부디 참고하시길!

 

 

 

3. 엥? USB 3.0 인가 2.0 인가 하는 애들은?

 

상품 설명에 USB 3.0! 열라 빠름! 이런 거 엄청 많던데 얘가 뭔지 설명하지 않겠음

왜냐하면 외장하드가 3.0 이어도 연결하는 기기 (컴퓨터나 노트북)가 2.0 이면 어차피 2.0 속도임...

이거 맞추자고 컴퓨터랑 노트북을 바꿀 순 없으니 ㅠㅠ 이미 고려해서 바꾼 기기에 맞춰서 하드 장만하실 분 아니라면 고려사항이 아닌 것임

내 노트북/컴퓨터가 2.0인지 3.0인지 너무 궁금하면 따로 이게 무엇인지, 내 기기는 무엇인지 알아보셔도 나쁠 건 없습니다

 

덧붙여 어드밴스는 3.0 이랑 2.0 이랑 라이트 색이 다르게 뜸

다른 모델들은 확인 안 해봤음... 그렇게 중요한 부분 아니어서 넘어간다

 

 

 

5. 한번 더 어드밴스를 추천

 

나는 첨에 도시바에 어드밴스 말고도 프리미엄, 베이직, 커넥트 라인이 있길래 한참 보다가 네 개 모두를 비교한 글을 못 찾아서 대충대충 찾아본 결과

프리미엄-어드밴스-(커넥트)-베이직 순으로 보면 될 듯 물론 가격도! ^^

 

사실상 커넥트 다음 모델이 어드밴스로 커넥트는 단종 상태라고 보면 되지만 (도시바 공식 수입원 네이버 스토어에 보면 아예 없음) 아직 남은 물량은 많은 듯

 

프리미엄과 어드밴스는 대부분의 스펙이 동일하나 외관상의 차이

어드밴스의 매끈한 재질이 싫으면 돈을 조금 더 주고 메탈 재질에 스크래치에 강한 프리미엄을 사시면 됩니다!

나는 매끈한 걸 좋아해서 굳이 프리미엄을 살 필요가 없었음 종종 보호필름 주는 곳도 있음 ㅋㅋㅋ

근데 나는 파우치 안에 넣어놓고 써서 스크래치 날 일이 잘 없다..

 

커넥트는 잘 모르겠다 ㅠㅠ 커넥트랑 비교했을 때 프리미엄이랑 어드밴스는 외장하드 잠금 기능이 있는 정도라고 쓴 글을 봄

잠그고 싶은 사람은 무조건 후자!!!!! 겠지만 나는 의외로 설치하기 귀찮아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능이다...

애초에 과제용이라 다른 사람한테 넘겨야 되는 경우가 있어서 걸어놓으면 더 귀찮아지기만 함 ㅠㅠ 부분 잠금 기능은 확인 안 해봤다

다만 구매할 때에는 솔깃한 기능임 ㅋㅋㅋ 용량 차지한대서 일단 내버려두었다가 그대로 사용 중이다

하지만 난 전자기기 단종 제품은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게 아니라면 여러 가지 이유로 구매하지 않아서 패스함

 

 

 

그리고 이래저래 이런 기능! 저런 기능! 하고 다들 어필하고 있지만 사실 저장 말고는 잘 이용 안 하게 됨

백업 클라우드나 데쉬보드 서비스 제공하는 경우도 많던데 (씨게이트의 경우) 나는 드롭박스 자동 백업 이용했다가 정리할 파일만 더 많아진 사람이라 별 관심 없는 기능이었음

하지만 좋아하는 분들에겐 아주 솔깃한 기능 일듯!

나는 노트북에 어도비 프로그램 4개 까니까 파일 아무것도 없어도 빨간 용량 뜨는 노트북 사용 중이라 부가 프로그램은 짐이 될 뿐...

 

어쨌든 도시바 어드밴스(혹은 프리미엄) 추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충격 감지 센서랑 4댐퍼 때문

다른 제품에서는 굳이 어필하지 않는 부분이니까 이 모델에만 있는 거 아닐까? 하는 정도지만

떨어뜨리거나 부딪히는 부분을 걱정하시는 분이라면 염두에 두어야 할 스펙이라고 본다 (경험담이 좌우하는 부분)

WD 쓰시는 분들은 계속 WD 쓴다는 글을 많이 봤으니 이쪽도 내구도가 꽤 괜찮은 듯

 

그리고 1,2TB 살 거면 일단 PMR 방식인 도시바 제품이 더 낫지 않나 싶다

같은 이유로 3TB여도 마찬가지고

다만 용량 대비 가격 생각하면 4TB 제품들이 더 구미가 당기긴 함 ㅠㅠ SMR의 장점...

 

 

 

반전으로 하나 더 살까 고민 중인 건 4TB를 사볼까 하는 마음으로 패스포트 고민 중임

오렌지 색에 눈이 밟혀서...

하지만 이전에 당연히 어드밴스를 하나 더 산다고 생각할 정도였으니 생각난 김에 추천글을 씀

 

 

 

*2018년도에 작성한 글임을 감안해주시고 혹시 틀린 정보가 있다면 '유순하게'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